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칼끝에 새긴 정의 ― 『Valdez Is Coming』 평론

by sisamandam 2025. 4. 18.

🤠 칼끝에 새긴 정의 ― 『Valdez Is Coming』 평론

Valdez Is Coming
Created By DALLE3

 

개요 🌵

『Valdez Is Coming』은 미 서부극이 지닌 총성과 질주의 공식 안에서 “배상(賠償)과 책임”이라는 묵직한 윤리적 화두를 정면으로 겨눈다. 산악 마을 라노리아에서 수십 년 동안 ‘멕시코 구역’의 야간 보안관으로 살아온 밥 발데스(버트 랭커스터)는 흑인 남성을 오인 사살한 뒤, 남겨진 아파치 여인에게 “단 백 달러”의 위로금을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감독 에드윈 셔린은 이 단순해 보이는 명제를 통해 총구로 쟁취한 정의와 토착민·이민자 폭력의 역사를 한꺼번에 호출한다. 영화는 “사막의 황혼”을 연상시키는 저채도 톤, 불규칙한 핸드헬드 쇼트, 그리고 💥 세 번에 걸친 원거리 저격 장면으로 ‘거리를 둔 분노’를 시각화한다. 반면, 주제어가 되는 ‘100달러’는 극 내내 소품이자 대사로 반복되어 현대적 보상 시스템이 갖는 모순을 떠올리게 한다. 발데스의 행로를 막아서는 마을 구호대·무기 밀매업자 프랭크 태너·백인 여성 게일은 각각 제도·폭력 자본·욕망의 얼굴이며, 세 인물이 발데스의 “책임 연대” 제안을 거부할 때마다 서사는 “누가 빚을 청구할 권리가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되돌아온다. 🌄 

줄거리 📜

1막은 오인 사살로부터 출발한다. 태너 일행이 ‘탈영병’이라 지목한 흑인 존슨은 사실 명예 제대군인임이 곧 밝혀지지만, 이미 총알은 그의 가슴을 관통한 뒤였다. 발데스는 사건 직후 “우리는 100달러씩 거둬야 한다”는 제안을 띄우지만  마을 유력자들은 “그 따위 건 인정하는 꼴”이라며 비웃는다. 태너는 논의 자체를 불법 무기 운송 계획의 ‘변수’로 간주하고 발데스를 선로에서 처참히 십자가 형틀에 묶어 사막으로 내쫓는다. 그러나 발데스는 원주민 농가 디에고의 도움으로 기사회생하며 “Valdez is coming”이라는 단 한마디 복수 통첩을 날린다. 2막부터 영화는 🚀 ‘이동’에 박차를 가한다. 발데스는 잔혹한 추격전 속에서도 게일(태너가 차지한 남편 잃은 백인 여성)을 포로로 삼아 사막 협곡으로 숨어들며, 이를 통해 “빚진 자와 빚의 수혜자”라는 새로운 윤리 대립을 끌어낸다. 3막에서 태너는 스무 명의 사설 군사조직을 동원해 협곡을 포위하지만, 발데스는 단 두 발의 장거리 라이플 사격과 게릴라식 지형 활용으로 연이어 11명을 쓰러뜨린다. 광기의 균열은 내부에서 먼저 터진다. 💣 부하들은 “100달러 때문에 11명이 죽었다”는 사실 앞에서 동요하고, 마침내 발데스가 게일을 풀어주고 나타나자 태너 혼자만이 넓은 평지에 남는다. 최후 장면, 발데스의 산탄총이 태너의 심장 앞에서 멈추며 “그 돈은 아직도 준비돼 있는가?”라고 묻는다. 그 질문은 곧 관객을 향한 것이다. 

챕터 1 – 총성 앞의 침묵 🔫

영화 초반부는 ‘잘못 조준된 총알’이 만들어낸 윤리의 공백을 면밀히 전시한다. 발데스가 태너의 오판을 제지하지 못한 이유는 그마저도 ‘멕시코 구역의 야간 순찰관’이라는 주류 권력 밖 주변인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감독은 이를 강조하기 위해 봉급 2달러 50센트짜리 보안관 배지와 탐탁지 않은 언어 억양을 클로즈업하고, 백인들 회합 장면을 완전한 하이앵글로 촬영하여 시차와 계급감을 부각한다. 발데스가 처음 “200달러는 필요하다”라며 중재안을 내놓을 때 태너의 총잡이들이 웃어젖히는 리액션은 🤣 코믹하나 동시에 잔혹하다. 이 장면은 서부극 관습 속 ‘법보다 총이 빠른 세계’를 역설적으로 폭로하며, 발데스가 주류 질서의 변방에서 목소리를 내야 하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챕터 2 – 사막의 파문 🌪️

중반부에서 영화는 추격 서스펜스를 넘어 윤리적 ‘낙인 지우기’를 전면화한다. 발데스는 십자가를 짊어지고 사막을 기어가며 과거 아파치 토벌대 활동에 가담했던 자신의 원죄를 회상한다. ⚖️ 이 회상은 플래시백 대신 발데스의 모놀로그와 살결에 새겨진 흉터로 점철되는데, 이는 시청각으로 “속죄가 모자라다”는 내적 음성을 관객에게 직접 체험시킨다. 반면 태너는 고지대 스윙 스테이션에서 밀거래 성공과 게일에 대한 소유 욕망이라는 이중 자본을 쥐고 허세를 부린다. 그러나 발데스의 돌격으로 신뢰 사슬이 끊기면서 부하들은 ‘1,000야드 저격’ 앞에 무력감과 죄책감을 동시에 느낀다. 감독은 이때부터 🔄 액션 리듬을 ‘정지→폭발→침묵’으로 반복하여, 거부된 책임이 부메랑처럼 돌아오는 메커니즘을 물리적으로 체험하게 만든다. 

챕터 3 – 100달러의 심판 ⚔️

결전 파트는 서부극 클리셰를 비틀어 “금액 vs 생명”이라는 기묘한 저울을 세운다. 발데스가 게일을 볼모 삼은 채 “태너, 백 달러 들고 혼자 와라”라고 외치자, 총잡이들은 자신들의 시체 값을 무의식적으로 계산하게 된다. 감독은 광각 렌즈로 황량한 평지를 찍어 인물들을 ‘현상금 포스터 속 소인’처럼 축소하며, 책임을 회피하려는 심리를 시각적 왜곡으로 상징화한다. 마지막에 발데스가 태너를 제압하고도 방아쇠를 당기지 않는 순간, 총구의 클로즈업 위로 사막 바람 소리가 길게 깔리며 🌬️ “무르게 된 정의”를 관객 손에 넘긴다. 영화는 죽음이 아닌 ‘돈을 지불할 자유’를 태너에게 남김으로써 법·폭력·배상 3항의 상호 불완전성을 폭로한다. 

총평 📝

『Valdez Is Coming』은 총구보다 값싼 인간의 목숨을 고발하는 서부극의 변주다. 발데스는 사과·위로·배상 어느 것도 받지 못한 사회적 약자가 스스로 ‘정의 기관’이 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지만, 영화는 동시에 그 정의가 또 다른 죽음 위에 서 있음을 숨기지 않는다. 즉, 작품은 ⚔️ “저항의 폭력”과 💰 “배상의 화폐”를 맞붙여 현대적 재분배 논의의 원형을 탐문한다. 안티히어로 영화가 흔히 선택하는 ‘통쾌한 피날레’를 거부하며, 감독은 미제(未濟)의 윤리 과제를 관객 앞으로 슬쩍 밀어 놓는다. “너라면 100달러를 내겠는가, 방아쇠를 당기겠는가?” 이 열린 결말이야말로, 50년이 지난 지금도 발데스의 발자국이 모니터 밖으로 번져 나오는 이유다.